2006년 칸 영화제 감독주간 공식 초청작
<괴물>
감독 : 봉준호
주연 : 송강호, 변희봉, 배두나, 박해일, 고아성
줄거리
한강에서 매점을 운영하는 박씨 가족. 장남 강두(송강호)는 약간 모자란 듯 보이지만 딸 현서(고아성)를 지극히 사랑하는 평범한 가장이다. 어느 날, 한강에 거대한 괴생명체가 나타나 사람들을 습격하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게 된다. 그 생명체는 다름 아닌, 미군의 지시에 따라 한강에 유출된 포르말린이 원인이 되어 변이된 돌연변이 괴물이다.
괴물이 사람들을 공격하는 도중, 강두의 딸 현서는 괴물에게 납치된다. 정부는 상황을 은폐하며 바이러스가 확산되었다고 공표하지만, 실상은 괴물의 존재 자체를 숨기기 위한 거짓이었다. 강두는 자신의 가족들에게 아무도 현서가 살아있다고 믿지 않지만, 그는 딸이 살아있다는 강한 확신을 품고 구조를 시도한다.
강두의 아버지(변희봉), 동생 남일(박해일), 여동생 남주(배두나)와 함께 가족은 온갖 고난 속에서도 현서를 찾기 위한 사투를 벌인다. 군대와 경찰의 감시를 피해가며 한강변을 탐색하고, 정부의 통제를 피하며 괴물의 행방을 좇는다. 한편 현서는 괴물의 배설 장소인 하수도에 갇힌 채 살아남기 위해 처절하게 버틴다.
결국 가족은 괴물과 맞서 싸우게 되고, 치열한 전투 끝에 괴물은 남일과 강두에 의해 처치된다. 하지만 현서는 구출되지 못하고 죽음을 맞는다. 영화는 강두가 또 다른 아이를 데려와 매점에서 함께 식사를 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되며, 개인과 국가, 가족과 사회 사이의 단절과 저항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등장인물들 간의 관계
강두(송강호)와 현서(고아성) : 영화의 감정 중심은 이 부녀의 관계에 있다. 강두는 무능하고 게으르다는 평가를 받지만, 딸 현서에게만큼은 헌신적이다. 현서를 구하기 위한 그의 분투는 가장 인간적인 본능인 '가족 사랑'의 집요함을 보여준다.
강두와 가족들 : 아버지 박희봉은 자식들에게 실망하면서도 끝까지 책임을 지려는 가장이다. 남동생 남일은 백수지만 정의감과 책임감이 있고, 여동생 남주는 양궁 국가대표 출신의 우직한 인물이다. 가족 간에는 갈등도 있으나, 위기 속에서 서로를 믿고 의지하는 관계로 변해간다.
정부와 국민 : 영화는 정부의 무능과 거짓을 강하게 풍자한다. 괴물 사태를 바이러스 전파로 조작하며 시민들을 통제하는 정부의 모습은, 실제 2000년대 초반 미국과 한국의 외교적 긴장, 특히 미군의 한강 포르말린 방류 사건(2000년 실화 기반)에 대한 사회적 불신을 투영한다.
괴물과 인간 : 괴물은 단순한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이 자초한 재앙의 산물이다. 괴물과의 싸움은 단순한 생존이 아니라, 무능한 국가로부터 가족을 지키기 위한 저항이다.
결론
괴물은 죽고, 현서는 구출되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한다. 가족은 비극을 겪고 뿔뿔이 흩어진다. 하지만 강두는 새로운 아이를 데려와 자신이 지켜야 할 또 다른 존재로 삼고 살아간다. 그는 더 이상 졸지 않고, 매점에서 총을 들고 주변을 경계하며 살아간다. 이는 변화한 개인의 의식과 저항의 시작을 의미한다.
영화는 전형적인 괴수물의 결말처럼 모든 것이 해결되는 해피엔딩이 아니라, 상처받고 살아남은 자의 무거운 현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속에는 인간성의 회복, 그리고 진실을 은폐하는 거대한 구조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을 품고 있다.
추천 이유
영화 '괴물'은 장르적 재미와 사회적 메시지를 완벽히 결합시킨 작품으로,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전형을 세운 영화다. 괴수물이라는 외피 아래, 정부의 거짓과 무능, 국가 폭력, 가족애와 저항이라는 복합적인 주제를 날카롭게 파고든다.
봉준호 감독은 이 작품을 통해 세계적 감독으로 발돋움했고, 송강호를 비롯한 배우들의 섬세한 연기, 특히 고아성의 생존 본능이 돋보이는 연기는 영화에 깊이를 더한다. 무엇보다 괴물이라는 존재 자체가 단순한 SF적 상상이 아니라, 인간 사회의 잘못과 탐욕이 만들어낸 결과라는 점에서 이 영화는 단순한 재난영화 그 이상이다.
칸 영화제에 초청되며 국제적 주목을 받았고, 1,300만 관객을 동원하며 한국 영화 사상 흥행 신기록을 세운 바 있다.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강력한 메시지를 지닌, 장르 영화의 정수이자 사회적 은유의 교본 같은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