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5회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
<브로커>
감독 : 고레에다 히로카즈
주연 : 송강호, 강동원, 배두나, 이주영, 아이유(이지은)
주요 줄거리
<브로커>는 '베이비 박스'를 중심으로 시작되는 특별한 가족 이야기다. 일본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만든 이 영화는, 혈연이 아닌 관계 속에서도 진정한 가족이란 무엇인가를 끈끈하게 묻는다.
주인공 상현(송강호)과 동수(강동원)는 교회에 설치된 베이비박스에서 유기된 아기를 몰래 데려와 입양을 원하는 이들에게 넘기며 생계를 이어간다. 이들은 자신들이 아이를 위한 더 나은 삶을 중개해 주는 ‘브로커’라고 여긴다. 어느 날 이들은 새벽에 유기된 아기 ‘우성’을 발견하고, 아이의 친모인 소영(이지은)이 이 사실을 알고 찾아오면서 이야기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전개된다.
소영은 아기를 데려가기보다는 거래에 동참하겠다고 말하고, 이들은 아이를 좋은 입양 가정에 보내기 위해 함께 여정을 떠난다. 그러나 이들의 움직임은 경찰 수사망에 포착되고, 형사 수진(배두나)과 이형사(이주영)가 끈질기게 뒤를 쫓는다. 여정 속에서 각자의 과거와 상처가 드러나고, 이 ‘임시 가족’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유대를 통해 진정한 관계로 발전한다.
등장인물들 간의 관계
상현은 빚에 허덕이는 생계형 브로커지만, 인간적인 따뜻함을 잃지 않은 인물이다. 동수는 고아 출신으로 입양에 대해 누구보다 민감한 인식을 가지고 있고, 소영은 원치 않던 임신과 삶의 불안 속에서 우성을 낳은 여성이다. 세 사람은 처음엔 이해득실의 관계로 얽히지만, 점차 서로에게 결핍을 채워주는 관계로 진화한다.
수진과 이형사는 이들을 범죄자로 쫓지만, 그들이 보여주는 인간성 앞에서 흔들린다. 영화는 법과 정의의 경계 바깥에서 진정한 윤리를 묻는다. 가족이란 무엇인가, 누가 아이를 키울 자격이 있는가, 사랑이란 어떤 조건을 필요로 하는가에 대한 복합적인 질문이 영화 전반에 깔린다.
결론
여정의 끝에서 소영은 자수를 결심하고, 동수는 아이를 데리고 사라진다. 상현은 경찰에 체포되지만, 우성의 진짜 가족은 누구보다 아이를 사랑했던 이들이었음을 암시하며 영화는 끝난다. 아이는 법적 가족을 얻지 못했을지언정, 짧은 시간 동안 진심 어린 사랑과 돌봄을 경험한다.
추천 이유
<브로커>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특유의 ‘가족’에 대한 섬세한 시선을 바탕으로, 한국 배우들과 함께 만들어낸 국경을 넘는 휴먼 드라마다. 송강호는 이 영화로 한국 배우 최초로 칸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며 또 하나의 전설을 남겼다. 이지은(아이유)의 섬세한 감정 연기, 강동원의 절제된 표현력, 배두나의 냉철한 시선 등 출연진 모두가 뛰어난 앙상블을 보여준다.
<브로커>는 법적 정의보다 인간적 윤리를, 혈연보다 마음의 유대를 강조한다. 단순히 ‘입양’이나 ‘유기’라는 사회 문제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놓인 사람들의 복잡한 감정과 선택을 다층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