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주주의의 뿌리를 되새기게 되는 실화 기반 영화
누적 관객수 약 1,137만 명 (2013년 개봉)
<변호인>
감독 : 양우석
주연 : 송강호, 김영애, 임시완, 곽도원
주요 줄거리
1980년대 초 부산을 배경으로, 부동산과 세금 전문의 평범한 변호사 송우석이 인권변호사로 성장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송우석은 고졸 출신의 자수성가한 변호사로, 돈 되는 일에만 집중하던 실리주의자다. 그러던 중 단골 국밥집 아들 진우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고문과 조작을 통해 억울하게 구속되자, 그는 그 사건의 변호를 맡게 된다. 재판 과정에서 그는 국가 권력의 불의와 억압을 마주하게 되고, 자신의 안위보다 정의를 택하는 변호사로 거듭난다. 이 영화는 1981년 실제 '부림 사건'을 모티프로 하여, 민주화 이전 한국의 시대상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등장인물들 간의 관계
송우석은 처음엔 돈만 보고 사건을 맡는 변호사였지만, 국밥집 아주머니와의 인간적 관계, 그리고 그 아들 진우와의 인연으로 인해 인간적인 각성을 경험하게 된다. 진우는 대학생으로, 단순한 독서모임이 간첩 혐의로 몰리는 상황에 휘말린다. 진우의 어머니는 아들을 구해달라며 절절하게 매달리고, 송우석은 이 간절함에 마음을 움직이게 된다. 이 사건을 맡으면서 그는 권력기관과 맞서게 되고, 동료 법조인들과도 갈등을 겪는다. 특히 검사 차동영(곽도원)과의 법정 대립은 영화의 핵심 긴장축을 형성한다.
결말
재판은 불공정하게 진행되고, 송우석은 진실을 밝히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한다. 그는 고문과 조작 증거들을 파헤치고, 법정에서 강력히 항변하지만 결국 법은 국가 권력의 편이었다. 진우는 실형을 선고받지만, 송우석은 포기하지 않고 항소를 이어간다. 영화는 이 재판을 계기로 송우석이 인권변호사로서 활동하게 되는 과정을 짧게 보여주며 끝난다. 이 결말은 관객에게 당시 한국의 억압적 현실을 직시하게 하며, 인간의 양심과 정의가 어떻게 행동으로 이어지는지를 묵직하게 전달한다.
추천 이유
영화 ‘변호인’은 단순한 법정 드라마를 넘어선 시대극이다. 송강호의 내면연기와 극적인 감정곡선은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전한다.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법이 어떻게 개인을 억압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는지, 그리고 그 억압에 맞선 개인이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키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지금도 유효한 ‘법과 정의’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한국 민주주의의 뿌리를 되새기게 한다. 실화 기반이 주는 무게감과 감정적 진정성은 이 영화를 시대를 초월한 작품으로 만든다.